지역을 바라보는 새로운 눈, 기록으로 연결을 만드는, 로컬에디터학과를 소개합니다.
<로컬에디터학과>에서는 일상에 스며든 지역의 이야기를 천천히 관찰하고, 기록해봅니다.
풍경 너머의 사람과 공간을 들여다보며 서로를 잇는 새로운 장면을 상상합니다.
연결하고, 기록하며, 가능성을 실험하는 시간.
그 여정 속에서 지역과 나, 모두의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 학과 소개
<로컬에디터학과>에서는
지역의 이야기, 사람, 공간, 낯익은 풍경 속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관계를 잇는 콘텐츠]를 만듭니다.
•
일정 : 2025. 08. 23.(토) ~ 2025. 11. 08.(토)
※ 상세 일정 커리큘럼 참고
•
구성 : 9회차의 프로그램 및 콘텐츠 발행
•
장소 : 밀양 시 일대 및 온라인
•
상세 커리큘럼
회차 | 일정 | 주제 | 내용 | 비고 |
1 | 08.23.(토)
14:00~17:00 | 밀양은대학 입학식
&학과 오리엔테이션 | -프로그램 소개
-로컬에디터란 무엇인가(월간 옥이네 사례 소개)
-과제 안내 | 오프라인 |
2 | 08.27.(수)
19:00~21:00 | 기록자의 태도와 윤리(+사진 실습 특강) | -기록의 윤리적 시선과 사례 읽기
-기사에 쓰이는 사진 감각 특강 | 온라인 |
3 | 09.06.(토)
14:00~17:00 | 인터뷰 글쓰기 기초 | -인터뷰 준비
-좋은 인터뷰 기사 분석
-질문지 초안 작성 | 오프라인 |
4 | 09.13.(토)
14:00~17:00 | 공간/장소 취재 | -장소를 보는 관점과 관찰 글쓰기 | 오프라인 |
5 | 09.24.(수)
19:00~21:00 | 기사구성과 타이틀&기획안 작성 | -기사의 기본 구조
-제목과 리드 쓰기
-기획안 구성 실습 | 온라인 |
6 | 10.11.(토)
14:00~17:00 | 현장 취재와
인터뷰 실습 | -현장 취재 및 인터뷰
-정리 및 기록 회고, 피드백 | 오프라인 |
7 | 10.15.(수)
19:00~21:00 | 기사 퇴고와 편집 | -퇴고 체크리스트 안내
-내 글 퇴고하기
-동료 피드백 | 온라인 |
8 | 10.25.(토)
14:00~17:00 | 기사 공유회 및
출판물 편집 | -기사 발표 및 피드백
-출판물 편집 방향 논의
-전시 콘텐츠 기획 | 오프라인 |
졸업식 | 11.08.(토) | 밀양은 대학
졸업식&전시 | 밀양은대학 졸업식 | 오프라인 |
•
교육 세부 내용
로컬 취재 실습 - 지역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법
강의와 현장 실습을 통해 지역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기본 역량을 기릅니다.
인터뷰, 기사 작성, 사진 기록 등 콘텐츠 제작의 기초를 다집니다.
에디터 워크숍 – 글쓰기와 편집의 기술
작성한 기사를 함께 다듬고 완성하는 시간이 운영됩니다.
글쓰기 멘토링, 제목 짓기, 사진과 레이아웃 구성 등
잡지 제작 과정을 경험합니다.
로컬 기획 발표 – 나의 이야기로 연결하는 프로젝트
이번 과정을 통해 제작한 콘텐츠를 바탕으로
졸업 전시 및 발표회를 엽니다.
직접 만든 기사와 콘텐츠를 전시하고,
지역사회에 로컬 에디터로서의 성장을 공유합니다.
이런 분들과 함께하고 싶어요!
•
지역에서 의미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보고 싶은 분
•
취재와 기록을 통해 나만의 프로젝트를 실행해보고 싶은 분
•
혼자서는 지역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막막했던 청년
•
로컬을 바라보는 시선에 ‘나의 이야기’를 더해보고 싶은 사람
모집 안내
•
모집기간 : 2025. 07. 14.(월) ~ 2025. 08. 10.(일)
•
대상 : 지역에서의 학습과 성장의 기회를 찾는 성인 누구나 (만 19세 이상)
•
정원 : 20명
강사 및 코치진
만드는 사람들
기획 및 운영 : 지역문화활력소 고래실
밀양은대학 [로컬에디터학과] 교육 및 운영
“문화로 지역을 엮고, 농촌의 내일을 기획합니다.”
지역문화활력소 고래실은 지역 잡지 ‘월간 옥이네’를 통해
지역을 새롭게 만나는 기회를 열어왔습니다.
이러한 우리의 경험과 고민이 담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에서 무언가를 해보고 싶은 이들에게
실제적인 계기와 동력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홈페이지 : http://goraesil.co.kr/